모든 상대방은 크고작은 깨달음을 항상 주는 존재이다

심리치료 모음 41

결국에는 애착이다.

자기조절 능력은 기능적 자기감(sense of self)이 발달할 수 있는 토대다(Beebe & Lachmann, 1994; Schore, 1994; stern, 1985). 그리고 자기감은 무엇보다도 언어가 아닌 몸 감각과 움직임을 통해서 경험할 수 있는 것이다(Damasio, 1994, 1999; Janet, 1929: Krueger, 2002; Laplanche & Pontalis, 1998; Mahler & Furer, 1968; Stemn, 1985). 초기 어린 시절에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감각은 생리적 감각과 촉각이고, 접촉과 시간의 흐름을 통해서 생후 신생아와 부모의 소통 수단에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시각적 자극과 청각적 자극이다(Krueger, 2002). 감각적 입력 및 다른 신..

심리치료 모음 2025.04.18

ACT의 탈융합

인지적 융합(cognitive fusion)은 우리의 생각을 우리가 사실로, 실재하는 경험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즉, 생각에 융합(생각에 빠져있게)되면 그 생각이 절대적인 진실이나 현실로 느껴지고, 생각이 그저 생각일 뿐이라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게 되는 것이지요.그러면서 마음이 실제 현실이 아닌 “자신만의 현실”을 만들어내고 그 자신만의 현실 안에서만 살게 만듭니다. 예시로 들어보면, '난 이 우울로부터 벗어날 수 없을거야'라는 생각에 융합되어 있으면, 그 생각이 나에게 그대로 우울한 현실 안에서만 살게 되게끔 만들어버리는 것인데요. 우울로부터 벗어날 가능성을 차단시켜버린 채!그래서 ACT에서는 인지의 탈융합(cognitive defusion)을 강조합니다.저 회색 색칠을 생각, 기억,..

심리치료 모음 2025.04.17

무탈히 성장한 아이와 학대를 경험한 아이, 그 독립성과 의존성에 대하여

건강한 발달 경로에서 아이는 의존할 만큼 믿음직한 양육자의 내적 표상을 형성하게 된다. 고통스러운 순간에 양육자에 대한 정신적인 표상을 떠올리면서, 확고한 자율성이 확립되는 것이다. 성인 포로들은 독립성을 지키기 위하여 이러한 내적 심상에 크게 의존한다. 그러나 만성적인 아동기 학대의 기후 속에서, 이러한 내적 표상은 애초에 형성조차 되지 못한다. 그것은 외상 경험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폭력적으로, 산산이 부서졌다. 학대받은 아이는 내적인 안전감을 키우지 못했기 때문에 위안과 위로를 찾기 위해 외적인 자원에 의존하는 면이 다른 아이들에 비해 커진다. 학대받은 아이는 확고한 독립성을 발달시키지 못하면서 절박하고 무분별하게, 의존할 만한 누군가를 계속 찾으려 한다. 낯선 사람에 대한 빠른 애착 형성은 학대받은..

심리치료 모음 2025.04.16

심리치료에서의 저항을 대하는 치료자의 마음

변화에 대한 저항과 위협적인 자극에 대한 방어는 삶의 한 방식이다. 그것은 우리가 낯설고 놀라운 아이디어들에 적응하기 위해 새로운 인지 구조를 구축할 시간을 벌어 준다. 그것은 우리가 이질적이고 혼란스러운 관점들에 익숙해지려고 할 때 숨 돌릴 틈을 준다. 그것은 모든 유기체 조직의 부분을 이루고 있는 적응기전이다. 그것은 우리가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것에 대한 반응을 고안해 내도록 준비시킨다.이 순간 그리고 매 순간 우리의 방어체계는 대뇌 안에서 작동하고 있다. 새로운 아이디어가 제시된 후 우리가 제일 먼저 하고 싶은 것은 그것을 깎아내리거나 부적절하게 만들 방법을 찾는 것이다. 우리가 어떤 새로운 아이디어를 사실로 받아들이게 되면, 이 새로운 정보를 통합시킬 방법을 생각해 내야 하고 오랫동안 의지해 ..

심리치료 모음 2025.04.15

각성의 세 영역, 그리고 수용의 창(window of tolerance)에 대하여

우리는 자극이 있을 때 세 가지 각성 영역 중 한 군데에 머무르며, 그것을 처리하게 됩니다. 그림의 각성 영역을 살펴보았을 때, 각성이 지나치게 높아진 과각성 상태, 각성이 지나치게 낮아진 저각성 상태, 그리고 각성이 필요한만큼 잘 조절되고 있는 수용의 창(window of tolerance)에 머무는 상태로 나뉩니다.과각성 영역에 머무는 중인 사람은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며, 지금 상황을 위험하고 투쟁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그리고 빠른 심장 박동과 혈압 상승으로 강한 흥분을 경험하고, 감정과 자극을 강렬하게 느끼며, 몸의 감각과 긴장도가 높아지게 되고, 비자발적이고 조절 불가능한 움직임을 경험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사고는 너무 빨라져 조급하게 되고, 사려 깊지 못하면서 반사적이고 충동적인 면을..

심리치료 모음 2025.04.11

Description과 Evaluation 구별하기, 생각의 덫을 걷어내기

마음챙김 명상을 지도받을 때 어떤 것을 관찰하도록 요구받거나 어떤 활동을 집중하도록 요구될 때 “평가”를 하지 않고 “기술 혹은 묘사”를 하라고 합니다. 그것은 내 마음에서 일어나는 내 생각에 대해서도 평가하지 말고 묘사하라고 하지요.그 이유가 무엇일까요?우리의 생각은 너무나도 널리 퍼져 있어서, 우리는 이를 외부 세계의 일부로 여기고 우리가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잊어버린 채 우리도 모르게 구성한 외부 세계에 의해서 압박을 받는다. 즉 생각이 만들어낸 세계가 사실이 아님에도 우리는 그 생각이 만든 세계가 사실인 듯 여기고 머무르게 되면서 정신적 고통을 받게 된다는 이야기이지요.그렇다면 “기술 혹은 묘사”와 “평가는 어떻게 다른 것일까?이 순환을 깨트리는 방법 중에 기술(description)과 평가(ev..

심리치료 모음 2025.04.09

인지적 처리란, 그리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우리의 몸

인지적 처리라는 용어는 개념화와 추론하기, 의미 만들기, 문제 해결하기, 의사 결정하기와 관련된 능력을 말한다. 인지적 처리는 경험을 관찰하고 추상화하는 능력과 행동 가능성의 범위를 가늠하는 능력,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계획을 세우는 능력, 행동의 결과를 평가하는 능력을 말한다. 우리는 삶에서 하루에 완수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생각해 계획을 짜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시간을 조직한다. 그리고 계획을 실행하는 동안에는 (예: 좌절, 피로, 신체적 불편과 같은) 감정과 감각을 무시하기도 한다. 즉 소매틱 경험(somatic experience)과 감정적 경험을 알면서도 그것을 행동의 결정적인 요인으로 만들지 않고 배재한 채 삶을 관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트라우마된 사람들의 경우, 트라우마와 관련된 감..

심리치료 모음 2025.04.07

다미주 이론(Polyvagal theory)

스티븐 포지스(Stephen Porges) 박사가 1990년대에 제시한 이론으로, 트라우마나 학대를 경험한 사람들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보이는 반응이 늘 투쟁/회피가 아니라는 점에 주목하고, 끔찍한 사건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이 공포 상황에 직면했을 때 투쟁하고 대항하는 것이 아닌 얼어붙은 정지된 상태로 근육이 풀리고, 의식을 잃고, 해리 상태를 경험했다는 점을 주목해 연구한 결과들을 정리하고 제시한 것입니다. 여기에서는 자율신경계가 단순한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대립 관계가 아닌, 진화론적 관점에서 세 가지 신경계의 위계적인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설명합니다. 다미주 이론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감정을 생물행동학적 과정으로 해석합니다. 상당 기간 심리학과 뇌 연구자들은 각성이론(arousal theory..

심리치료 모음 2025.04.02

생각의 덫, 그리고 경험 회피에 대한 설명

우리는 반복적으로 괴롭히는 생각으로, 그리고 감정으로, 또한 나도 원치않게 하게 되는 행동들로 고통을 받게 됩니다.Hayes와 동료들이 쓴 ACT에 대한 책에서는 이런 여러 연구결과들을 종합해 내려주는 설명으로 우리를 이해시켜주려 하고 있습니다.하버드 대학교의 심리학자 댄 베그너는, 생각하지 않으려고 애쓰는 생각의 빈도는 잠시 동안 감소할 수 있지만 이내 이전보다 더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 생각은 사고과정에서 훨씬 더 중심적이 되어서 반응을 유발할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사고 억제는 단지 상황을 악화시킬 뿐이다.(중략)만일 당신에게 강박적인 생각이나 걱정이 있다면, 이러한 양상은 당신에게 이미 친숙할지도 모른다. 연구에 따르면, 강박사고가 없는 대다수의 사람들도 강박증 환자와 마찬가지로 때로 기..

심리치료 모음 2025.04.01

대화의 언어행동 분석

우리 인간은 여러 경로로 상대방과 사회적 행동을 주고받습니다. 그 중 언어는 가장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것이며, 상대가 전달하는 의도와 내용을 많이 담게 되는 매개체이지요. 그래서 우리는 언어행동을 통해 대화 상황에서 상대의 자세를 읽음으로써 중요한 정보를 얻게 됩니다. 언어행동을 분류하는 대표적 방법이 Penman식 분류방법인데, 이 방법은 모든 언어행동을 대인권력(power)과 대인관여(involvement)라는 두 차원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지요. 좀 말이 쉽게 와닿지 않을 수 있는데, 대인권력(power)은 발화자의 권력, 영향력을 떠올리면 되는 것이고, 대인관여(involvement)는 발화자의 태도에서 나타나는 긍정성과 부정성 정도를 떠올리면 됩니다.  이 분류방식은 모든 언어행동을 말하는 이의 ..

심리치료 모음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