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평가 전문자료

반사회성 성격장애의 감별 진단에 활용될 중요 특징

psyglow 2025. 5. 2. 18:45

반사회성 성격장애는 성격장애 군집 B에 속해 있는데 같은 군집의 경계선 성격장애나 우울과 같은 정신병리와도 공병률(comorbidity)이 높다. 반사회성 성격장애 성향의 충동성이 경계선 성격장애의 충동성이나 우울의 낮은 자제력과 공병하면서 타인에 대한 공격성 외에 자살과 같은 자해로 나타나기도 하고 다른 성격장애보다 더 심각한 음주문제를 초래하기도 한다.

하지만 반사회성 성격장애 성향자의 우울증은 죄책감 때문에 생기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소망이 충족되지 않기 때문에 공허감이나 지루함이 특징적이라는 부분에서 일반적인 우울증과는 다르다. 반사회성 성격장애 성향자의 충동성은 공격욕구 통제의 어려움을 반영하는 행동통제 결함, 일을 착수하기 전에 계획을 세우지 않거나 안정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무계획 충동성, 아무생각 없이 행동이 앞서는 운동 활동 충동성, 흥분하면 진정하기 어렵고 쉽게 화를 내는 정서적 통제에 결함이 있는 충동성과 모두 관련이 있지만, 경계선 성격장애의 경우 정서조절의 결함과 관련된 충동성만이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성격장애에 따른 충동성도 차이가 있다.

(중략)

Gray(1981)는 범죄자들은 처벌자극에 대해서는 조건화가 안 되지만, 보상자극에 대해서는 정상인들과 다름없는 조건화 능력을 보여주며, 이는 강한 충동성 때문이라고 하였다. 이상현(2005)은 정신병질자의 증상은 정서통제의 결함, 충동성, 소아적인 행위의 지속, 경험을 살리는 능력의 결여, 장래에 대하는 배려 결여, 자기 신뢰의 결여, 집단에의 적응불안, 지루함의 인내능력 결여, 무책임 등이라고 지적하면서 범죄행위와의 관련을 지적하고 있다. 이처럼 충동성은 반사회성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의 외현화 행동과 관련된 가장 특징적인 성향이라고 할 수 있다.

출처 : 성격장애의 인지치료

심리평가를 갓 배운 분들은 수검자들이 MMPI-2에서 4번이 뜨면 일단 묻고 따지지도 않고 반사회성을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되기 마련입니다. 그러나 Pd 척도가 가지고 있는 충동적 성향과 자신도 예측 못한 무책임의 부분들이 반사회성 성격이 아닌 사람들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는 점을 임상가라면 간과하지 말아야 합니다. 이 글은 APD를 감별할 때 중요한 것이 단지 이 상황을 모면하기 위한 도구적이 죄책감과 우울이 아닌 진짜 양심에 근거한 죄책감을 수검자가 과연 진정성 있게 내적 접촉이 되고 있느냐를 살필 수 있도록 우리를 이끌어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