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상대방은 크고작은 깨달음을 항상 주는 존재이다

심리학 모음

정서 휴리스틱 : 감정 예측을 어림짐작으로 하기

psyglow 2025. 5. 23. 18:48

우리의 미래의 정서(그것의 강도, 극단성, 지속 시간)에 대한 믿음은 우리가 현재의 감정과 선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의 하나라는 점에서 볼 때, 정서 예측은 정서도식치료 모델과 서로 연결된다. 이렇게 확연하게 편향된 예측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정서 예측 모델은 우리가 휴리스틱, 즉 주먹구구식 어림법에 기초하여 미래의 감정을 예측한다고 제안한다. 이는 자동적으로 유발되는 지름길의 규칙들인데, 많은 경우 우리를 편향된 예측으로 이끈다.

그중에 한 가지 휴리스틱이 '면역 경시(immune neglect)'인데, 이는 우리의 미래의 정서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미래의 완화 요인들을 고려하지 않는 경향성을 일컫는다(Gilbert & Andrews, 1998). 예를 들어, 이혼한 지 일 년 뒤에 우리의 감정이 어떨지를 예상할 때, 우리는 새로운 관계, 직장에서의 보상적인 경험의 기회, 개인적 성장이나 여행에서의 새로운 경험, 현재 배우자와의 갈등이 사라짐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 이렇듯 예상치 못하게 '끼어드는' 경험들은 장기적인 정서적 어려움에 하나의 '면역력'을 제공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종종 우리가 두려워하는 부정적인 정서로부터 우리를 보호'해 줄 수 있는 요인들을 예상하는 데 실패한다.

또 다른 휴리스틱으로는 다른 가능한 요인들을 배제하고 한가지 세부 사항에만 초점을 맞추는 '초점화(focalizing)'를 꼽을 수 있다(Wilson et al., 2000). 예를 들어, 이혼의 경우에 우리는 휴일에 혼자 지내는 적적함에만 초점을 맞추고, 친구들이나 다른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등 이혼 후의 다른 가능한 보상 경험에는 시선을 두지 못할지도 모른다. 우리는 현재의 감정에 '닻을 내림'으로써 '정서 휴리스틱(emotion heuristics)'을 사용한다. 이는 우리가 현재의 감정에 기초하여 미래 감정을 예측하도록 이끈다. 우리는 복권에 당첨되어 흥분하면 이 흥분이 오래갈 것이라고, 심지어 영원할 것으로 생각한다. 관계가 끊어져서 슬픔을 느끼면 그 슬픔과 외로움이 영속할 것이라고 믿는다. 이는 또한 정서적 추론('나는 슬프다. 고로 나의 슬픔은 계속될 것이다.')의 한 형태로 이해할 수 있다.

출처 : 정서도식치료

위의 첫 문단에서 짧게 설명했는데, 심리학에서의 휴리스틱이란 개념은  사람들이 문제를 해결하거나 의사결정을 내릴 때 사용하는 간단한 규칙, 직관, 또는 경험 기반의 전략을 뜻합니다. 복잡한 상황에서 빠르고 효율적으로 판단을 내릴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인데요. 이것이 항상 정확하거나 최적의 결과를 보장하지는 못하며 편향(bias)과 인지적 오류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이걸 정서에 대한 우리의 예측에서도 적용해볼 수 있는 것이지요. 우리의 정서는 매 순간 변화하고 바뀝니다. 그렇지만 우리의 갇힌 사고의 틀은 이 정서가 변화할 것을 예상하지 못하게 합니다. 하지만 막상 나중에 겪어보고나면 그 감정이 예상대로 되지도 않고요. 특히 정서란 것이 생각보단 상황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무엇보다 우리 인간은 미래 상황을 감정에 휩싸인 상태에서의 예측과 다를 것이라 잘 상정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정서도식치료의 '정서 휴리스틱'이란 개념은 우리가 정서를 인지적으로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 얼마나 그 예상이 제한되고, 또한 덜 알아차림을 하도록 만들어가는지를 부분적으로 설명해주고 있습니다.